주식 | 코인 | 경제

디지털 금 비트코인 BTC 직접투자 vs 간접투자 방법과 장단점 비교로 현금 헷징 전략

iKeepgoing 2025. 4. 29. 12:15

🪙 "비트코인은 현금을 헷징할 수 있는 훌륭한 자산이다"

지금 세상은 예측 불가능합니다.
돈의 가치가 하루가 다르게 떨어지고 있다는 걸 피부로 느끼는 요즘,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자 수단을 넘어,
인플레이션 헷지(hedge)와 자산가치 보존의 강력한 무기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을 산다"는 것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단순 구매만이 답이 아니라, 기업 투자, ETF 투자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초보·중급 투자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접 투자 vs 간접 투자를 차근차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비트 코인 직접 투자: 비트코인 구매 & 보유

✔️ 방법

  • 거래소(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등) 가입
  • 해외거래소가 유동성이 더 좋으므로 한 거래소에 몰빵하는 것 보다 한국과 해외 거래소 둘다 권장
  • 비트코인(BTC) 매수 후 보관 (하드월렛 추천)

✔️ 장점

  •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직접적 수혜
  • 내 자산을 완전히 내 손에

✔️ 단점

  • 해킹, 분실 위험 (특히 개인 지갑 사용 시)
  • 가격 변동성 극심 (하루에 ±10% 움직이는 일도!)

2. 간접 투자: 비트코인을 보유하거나 채굴하는 기업·ETF 투자

직접 구매가 부담스럽다면?
비트코인을 보유하거나 채굴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어 접근성도 좋고, 기업 자체 성장성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을 보유한 주요 기업들

 

기업명 핵심 전략 2025년 4월 상황 특징 요약
Strategy (MSTR) 비트코인 집중 매집 553,555 BTC 보유 소프트웨어회사 ➔ '비트코인 트레저리' 변신
Marathon Digital (MARA) 채굴 + BTC 보유 47,531 BTC 보유 미국 최대 채굴기업 중 하나
Metaplanet (3350.T) BTC 자산화 BTC 추가 매입, 주가 급등 일본판 '마이크로스트래티지'
Gumi (3903.T) Web3+BTC 전략 6.58백만 달러 상당 BTC 보유 블록체인·NFT 중심 게임사
Enish (3667.T) Web3 전환 BTC 매입 선언 후 주가 급락 게임사, 아직 불확실성 존

각 기업 자세히 파헤치기

1. Strategy (MSTR)

  • 원래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소프트웨어 회사였습니다.
  • 하지만 CEO였던 마이클 세일러가 2020년 이후 비트코인을 강력히 신봉.
  • 회사 자금과 추가 전환사채 발행으로 대규모로 비트코인 매입.
  • 현재 실질적으로 ‘비트코인 투자회사’가 되었습니다.
  • 리스크: 비트코인 가격 하락 시 회사 가치 급락 가능.
  • 주가: 2025년 4월 현재 $369.25

🔥 포인트: 비트코인 강세장이 온다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기업 중 하나

2. Marathon Digital Holdings (MARA)

  • 비트코인 채굴 전문 회사이며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기업입니다.
  • 자체 채굴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미 최대 채굴 용량 중 하나를 운영.
  • 채굴한 비트코인을 대부분 보유하며, 매각을 최소화하는 전략.
  • 리스크: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면 수익성이 크게 악화됨.
  • 주가: $14.01 (2025년 4월 기준, 연초 대비 약 23% 상승)

⚡ 포인트: 비트코인 가격 상승 + 채굴량 증가가 겹치면 폭발적 성장 가능

3. Metaplanet Inc. (3350.T, 일본)

  • 일본 도쿄 기반의 기술 투자회사.
  • 2024년 말부터 비트코인을 회사 자산으로 적극 편입.
  • 일본 엔화 약세에 대비하기 위해 비트코인을 ‘기업자산’으로 삼음.
  • 비트코인 추가 매입 발표 후 주가가 무려 1,000% 이상 폭등.
  • 리스크: 환율 리스크, 규제 리스크
  • 주가: ¥344 (전년 대비 1,086% 상승)

🏯 포인트: "일본판 마이크로스트래티지"로 불릴 정도로 BTC 집중 전략

 

4. Gumi Inc. (3903.T, 일본)

  •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둔 모바일 게임 개발사입니다.
  • 최근 Web3, 블록체인, NFT 관련 사업을 확대.
  • 이 과정에서 약 6.58백만 달러어치 비트코인 매입.
  • 리스크: NFT·Web3 사업의 불확실성
  • 주가: ¥474 (2025년 4월 기준, 전년 대비 51.6% 상승)

🎮 포인트: 비트코인 뿐 아니라 Web3 게임 성장 기대감도 함께 반영

5. Enish Inc. (3667.T, 일본)

  • 일본의 모바일 게임사.
  • 블록체인 기술 기반 게임 개발을 선언하며 비트코인 매입 계획을 발표.
  • 하지만 구체적 성과가 없고, 주가는 발표 이후 하락세.
  • 리스크: 사업성 불확실성, 주가 변동성 심함
  • 주가: 최근 28% 하락 (연초 대비 약 60% 하락)

🚧 포인트: “말뿐인 Web3”라는 비판 가능성도 존재, 신중한 접근 필요

3. 비트코인 채굴 기업 및 ETF 투자

비트코인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채굴기업 투자도 인기입니다.

기업명 특징 주가 퍼포먼스
Riot Platforms (RIOT) 북미 최대 채굴 시설 보유 연초 대비 약 +5%
CleanSpark (CLSK) 친환경(태양광 등) 채굴 지향 연초 대비 약 +8%

그리고 Grayscale Bitcoin Miners ETF (MNRS)를 통해 여러 채굴기업을 묶어 분산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요약

투자 방법 장점 단점 추천 대상
직접 투자 (비트코인 매수) 순수한 비트코인 상승 수혜 보안·변동성 리스크 장기 투자자, 강한 믿음 보유자
간접 투자 (기업, ETF) 기업 성장성 + 분산효과 기업 경영 리스크 안정성과 수익성 모두 원하는 투자자

비트코인은 현금 가치 하락 시대에 자산을 지키는 훌륭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스크도 분명합니다.

  • 비트코인을 직접 들고 있을지
  • 간접적으로 관련 기업에 투자할지

본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허용 범위에 맞춰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당신의 현명한 투자 여정을 응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