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주식 사도 될까?" 투자자라면 누구나 하는 고민이다. 하지만 만약 주식에도 계절이 존재하고, 특정 달에는 수익이 높을 확률이 더 높다면? 단순한 운이 아니라, 통계를 기반으로 확률을 높일 수 있다면?
물론 주식시장에서 100% 확실한 것은 없다. 하지만 통계를 통해 과거 데이터를 분석하고, 계절성과 모멘텀을 함께 고려한다면 보다 높은 확률로 수익을 낼 수 있다. 실전 투자자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계절성을 이용한 투자 전략에 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다.
주식투자에서 계절성이란?
계절성이란 특정 시기에 따라 주식 시장의 흐름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말 쇼핑 시즌에는 소비 관련 주식이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특정 월이나 시기에 따라 전체 시장의 흐름이 일정한 패턴을 보인다는 점이다. 한국, 미국, 중국 등의 주요 시장을 분석한 결과, 몇몇 달은 평균적으로 높은 수익을, 몇몇 달은 낮은 수익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계절성을 이용하면 투자 타이밍을 보다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다.
위의 2개의 그래프를 보고 확실하게 알수 있는 사실은 9월의 주식 투자를 피해야하는 달이다. 물론 인버스로 투자할 강심장을 가졌다고 들어가도 괜찮다.
미국 주식이 9월에 안 좋은 이유
1. 세금 관련 매도: 펀드 기관들의 회계연도가 9월에 마감되므로, 세금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손실이 난 종목을 매도합니다.
2. 포트폴리오 재조정: 여름 휴가 시즌이 끝난 후,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면서 주식 매도가 증가합니다.
3. 계절적 현금 수요: 가을 학기 시작으로 인한 학비 지출 등으로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표를 통해 몇 가지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세 시장 모두 11-12월은 강세를 보인다 (연말 랠리)
- 5-6월과 8-9월은 공통적으로 약세를 보인다
- 특히 7월은 세 시장 모두 강세를 보이는 유일한 여름 달이다
- 미국 시장이 가장 많은 '좋은 달'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계절성과 매크로
계절성만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멘텀 지표, 매크로 와 함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멘텀 지표란 최근 12개월 동안의 수익률을 분석하여 상승장인지 하락장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주식 투자에서 '매크로(Macro)'는 '거시경제(Macroeconomics)'를 의미하며, 이는 경제 전체의 흐름과 구조를 분석하는 분야입니다. 매크로 분석은 개별 기업이나 산업보다는 금리, 환율, 통화 정책, 정부의 재정 정책, 국제 정세 등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룹니다.
- 계절성이 강한 달에 모멘텀, 매크로도 좋으면? → 강한 상승 가능성 (최고의 투자 타이밍), 예: 트럼트 당선된 11월 - 내가 가진 주식이 70% 상승했다.
- 계절성이 좋지만 매크로가 나쁘면? → 중립적 (수익 가능성은 있지만 크지는 않음) - 단기 투자에서 앞으로 몇달이 계절성이 좋다면 조금만 매수한다. 매크로는 거의 단기 조정을 받고 회복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주의 필요!
- 계절성이 나쁘지만 매크로가 좋으면? → 불안정한 수익 가능성 (보수적인 접근 필요) - 개인적으로 이 시기에 단기 투자 하지 않는다.
- 계절성도 나쁘고 매크로도 나쁘면? → 최악의 투자 타이밍 (돔황차!! 😱)
즉, 계절성과 모멘텀이 동시에 긍정적일 때 투자하면 가장 높은 확률로 수익을 낼 수 있으며, 둘 다 부정적일 때는 투자를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 여기서 장기 투자는 계절성이 큰 의미가 없다. 스윙이나 단기 투자를 고려한다면 주식 시장의 계절성은 참고해 볼 만한다.
실전투자자의 주식 시장 계절성 활용 팁
1. 실적 발표 시즌이용
실적이 발표되는 1,3,7,11월에는 미국 주식 시장의 성적이 좋다. 기업별로 어닝 플레이를 하지는 않지만 지수(나스닥, S&P)에 미리 투자를 해두고 실적 시즌에 주가가 오를때 이익을 실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연말에 미국 주식시장이 좋은 이유
블랙프라이데이의 마법 ✨
11월 말,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이 되면 주목해야 할 업종:
- 전자상거래 (아마존, 이베이)
- 리테일 (월마트, 타겟)
- 배송 (UPS, 페덱스)
- 결제 (비자, 마스터카드)
실제로 이 기간 동안 소비재 관련 ETF는 평균 3.2% 상승! 지수가 짧은 기간에 3.2% 오른것은 대단하다.
🎅 산타랠리는 진짜다!
크리스마스 시즌만 되면 주식 시장이 들썩이는 이유:
- 연말 보너스로 인한 투자 자금 유입
- 기관투자자들의 실적 맞추기 매수
- 새해 기대감으로 인한 심리적 효과
2. 하락 시즌을 매수 기회로 이용하기
2월, 6월, 9월은 대체로 하락장이다. 하락장을 좋은 매수의 기회로 생각한다. 나는 2월, 6월, 9월 말 정도부터 천천히 분할 매수를 한다. 그리고 3월, 7월, 12월 (상승장) 까지 홀드를 하고 내가 원하는 목표가가 올때까지 기다리고 이익 실현한다. 하락장 말부터 분할 매수를 하기 때문에 내 목표가는 짧게는 2주 길게는 한달 반 안에 도달한다. 5년째 실패없는 단기 투자 방식이다.
3. 애매한 달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5월, 8월은 매수도 매도도 하지 않는다. 어느 해에는 오르고 어느 해에는 떨어지고 가늠을 할 수 없는 애매한 달은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욕심은 금물이다.
결론
주식 시장의 계절성은 100%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패턴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만 보고 투자하면 위험하다! 계절성은 투자의 여러 도구 중 하나일 뿐, 기본적인 기업 분석과 함께 활용해야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시장의 계절을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건 당신의 투자 원칙을 지키는 것입니다."
'미국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대박 실적발표! AI 시대의 절대 강자,딥시크 논란에도 끄떡없는 이유와 투자 전략 (0) | 2025.02.04 |
---|---|
트럼프의 관세 전쟁 이유와 관세 폭탄이 경제에 미칠 영향,투자 전략 (0) | 2025.02.03 |
낸시 펠로시가 사면 오르는 미국 주식들, 2025년 그녀가 매수, 매도한 종목 공개! (1) | 2025.01.31 |
실전 투자자가 전하는 성공적인 미국 주식 투자를 위한 필수 경제 지표 가이드 (0) | 2025.01.29 |
우버(Uber) 기업 분석 공유경제 모빌리티의 선두주자 성장 전망은?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