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 코인 | 경제

트럼프 관세 리스크 없는 빅테크 기업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 실적 발표후 주가 폭등

iKeepgoing 2025. 5. 2. 13:35

2025년 1분기 미국 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활 시사로 많은 기업들의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Meta)는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하며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각각 7%, 5% 이상 급등했습니다. 보호무역 기조의 부담 속에서도 이 두 기업은 AI·클라우드 기반의 안정적인 수익 모델과 글로벌 플랫폼 구조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에게 장기 성장주로서의 확신을 재확인시켰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와 AI 투자의 힘

전망 및 해석 요약

  1. AI 및 클라우드 중심 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 중
    • 전체 매출 70B 중 클라우드 매출만 42.4B, 이제는 사실상 클라우드 기업으로 봐야 한다는 평가.
    • 애저(Azure) 매출이 예상보다 더 잘 나왔고, 다음 분기에도 35% 성장 예상.
    • 클라우드 중심의 B2B(기업간 거래) 시장에서도 지속적 확장 중.
  2. AI 투자 지속 의지 확인
    • 2026 회계연도에 AI 설비 투자 확대 예고.
    • 오픈AI와의 관계도 견고하며, 클라우드 협력 계약 유지 및 강화 중.
    • 이로 인해 엔비디아, TSMC 등 반도체 공급업체에까지 호재가 확산될 전망.
  3. 기술적 관점에서 쇼커버 랠리 가능성
    • 마소 주가가 기술적 저항선(이평선 등)을 돌파하면서 쇼커버링(공매도 청산) 가능성 언급.
    • 주봉 기준 50주선을 넘으며 "AI 장세 재점화" 기대.

📌 종합 판단:

  • 단순한 분기 실적 이상의 의미.
  • AI 클라우드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됨.
  • 주가는 추가 상승 여력 존재 (단기 과열 조정 가능성은 감안).

메타(Meta): AI 투자와 효율적 비용 통제로 반등

전망 및 해석 요약

  1. 광고 중심 비즈니스, 여전히 강력
    • 매출 대부분이 여전히 광고에서 나옴. 시장은 광고 의존도 높음을 리스크 요인으로 인식함.
    • 그러나 아시아 지역 광고 매출 급증은 긍정적으로 평가됨.
  2. AI 및 리얼리티랩스(R&D) 투자 확대
    • 자본 지출을 640억~720억 달러로 상향 조정, AI 인프라 투자 강화 의지.
    • 이는 엔비디아, TSMC, 하이닉스 등 반도체 관련 기업에 긍정적 영향 예상.
  3. Reality Labs 부문 손실 지속
    • AR/VR 기기 및 메타버스 R&D에서 매출 0.4B, 비용 4.2B → 여전히 적자 구조.
    • 그러나 “내년부터 수익화 가능”이라는 입장 유지.
  4. 성장성 측면에서 기대감 유지
    • 사용자 수 꾸준한 증가.
    • 향후 AI 안경, 메타 AI 제품 출시에 따른 매출 다각화 기대.

📌 종합 판단:

  • 광고 중심 비즈니스에 대한 우려는 남아있지만,
  • AI 투자 강화 및 메타캐스트 제품군의 가능성으로 성장 기대감 유지.
  • "올해 말~내년 실적이 진짜 승부처"라는 관측.

트럼프 관세 역풍, 왜 이들은 피해갔나?

기업 주요 매출 구성 관세 민감도 관세 영향 회피 요인
MS 소프트웨어 / 클라우드 매우 낮음 서비스 기반, 글로벌 분산 인프라
Meta 온라인 광고 낮음 디지털 광고 플랫폼, 글로벌 사용자 기반

 

트럼프의 관세 부활 시사에도 불구하고, 제품 생산-수출 중심의 기업들(예: 애플, 퀄컴)과 달리, 서비스·플랫폼 중심 구조를 가진 MS와 Meta는 관세 이슈를 직접적으로 피해 갈 수 있다는 점이 이번 실적 발표에서 투자자들의 확신으로 이어졌습니다.

 

반응형